너도 올라오겠어? _ 김개미

 


너도 올라오겠어? 

 

 

 

집에 있으면서 없는 척 

자유를 만끽하려면 

사다리를 놓고 지붕 위로 올라와 

아무도 찾아내지 못하게 

사다리를 멀리 밀어 버려 

 

방 정리하란 엄마 잔소리도 

칼싸움하자고 귀찮게 구는 동생도 

여기까지 따라오진 못해 

여긴 온통 잠자리 날개뿐이야 

 

나를 좀 봐, 벌렁 드러누워 

바람의 안마를 받고 있어 

노을 영화관에 앉아 

구름 감상을 하고 있어 

 

별이 발등에서 깜빡대기 시작하면 

온 식구가 허둥대며 

나를 찾아 헤매겠지 

 

가만, 그런데 어떻게 내려간담?

 

 

<김개미, 어이없는 놈, 문학동네, 2013> 

 

 

 


#김개미론 스케치 #주체의 궁핍과 쪼그라든 주체의 전략

 

1

혼자인 아이. 혼자 남겨진 아이. 혼자 버려진 아이가 여기 있다. 그래서 어떤 아이A는 장롱 속으로 들어간다. “한낮에도 깜깜한/ 밤이 필요해서/ 장롱 속으로 들어간다”(장롱 속으로 들어간다) 또 어떤 아이B는 지붕으로 올라간다. “집에 있으면서 없는 척”하면서 “아무도 찾아내지 못하게/ 사다리를 멀리 밀어 버”(너도 올라오겠어?)리고 혼자가 된다. 어떤 아이C는 그림 속으로 숨는다. “내가 그린 코뿔소는/ 귀를 틀어막은 소/ 눈을 꼭 감은 소”(누굴 닮아서)가 되어 그림 속으로 들어가 버린다. 김개미 시인은 혼자인 아이가 하고 있는 놀이를 담아낸다. 

 이는 앨리스 증후군(Alice in wonderland Syn-drome)을 앓고 있는 주체들을 떠올리게 한다. 이는 대상이 작아 보이거나(쪼그라들거나), 크게 보이거나(과장되거나), 왜곡되어 보이는 증상을 말하는데, 주ㅡ           ㅡ 관 적인 이미지의 변용을 일으키는 증후군(김영도, 2006)이다. 이를 두고 “주체의 궁핍”(destitution of subject)에 의한 증상이라고 하기도 한다. 허기진 주체들의 놀이가 김개미의 작품 곳곳에 드러난다.  

 

쪼그라든 시적 주체는 타자와의 교섭이 필요한 현실세계의 바깥, 미지의 세계로 향한다. 미지의 세계에는 엄마 잔소리도, 떠들지 말라는 담임선생님도 없다. 현실의 중력이 사라진 곳으로 간다. <너도 올라오겠어?>에서 화자는 1연에서 “사다리를 놓고 지붕 위로 올라와/ 아무도 찾아내지 못하게/ 사다리를 멀리 밀어 버”린다. 사다리를 밀어버림으로서 지붕의 공간은 타자의 침입을 허용되지 않는 미지의 공간으로 변모한다. 2연에서 “방 정리하란 엄마 잔소리도/ 칼싸움 하자고 귀찮게 구는 동생도/ 여기까진 따라오진 못”하게 한다. 말의 중력을 지워낸다. 이제 원더랜드로 진입한다. 3연에 “바람의 안마를 받고 있어/ 노을 영화관에 앉아/ 구름 감상”한다. 원더랜드 속에서 시적 주체는 4연에 들어서면서 “온 식구가 허둥대며/ 나를 찾아 헤매겠지”라며 자신을 찾는 모습을 상상하며 자신을 찾아주길 원한다. 쪼그라든 주체의 자기 전략은 자신을 조금씩 지워냄(주체의 부재)으로서 타자를 끌어들인다. 작품의 마지막 연에서 시적 주체는 깨닫는다. 지붕으로 올라올 수 있는 사다리를 밀어버렸다는 것을. 타자가 올라 올 수도 없고, 주체가 내려갈 수도 없는 곤경에 빠졌다는 것을. <너도 올라오겠어?>는 쪼그라든 주체들이 처해있는 곤란함에 대한 하나의 보고서로 읽히기도 한다. 

 이에 반해 과장된 시적 주체는 타자와의 교섭에 있어서 매우 적극적이다. 그들의 미지의 세계가 아니라 언어의 중력을 받아들이면서 과장을 전략으로 삼는다.  <넌 그런 날 없니?>는 이를 잘 보여준다. “누가 말만 걸면/ 몸을 비비 꼬며 낄낄”거리고 “별일 아닌데/ 원숭이처럼 책상을 두드”린다. 과장된 주체가 노리고 있는 것은 의미체계가 아니다. 그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것은 느낌의 효과다. “누가 부르기만 하면/ 귀청이 떨어지도록 큰 소리로/ 대답”을 하는 것은 의미를 전달하기보다 느낌을 효과 있게 전달하기 위해서다. 의미를 원하는 말의 중력에 적극적으로 의미 이전의 느낌의 효과로 개입한다. “알지도 못하면서/ 번쩍번쩍 손을 들”면서 한 마디 덧붙인다. “쓸데없이”. 쓸모에 따라 의미의 논리가 구성되기 때문에 과장된 시적 주체는 쓸모없는 행동이 된다. <넌 그런 날 없니?>는 쓸모 있어야만 하는 세계에 맞선 별 쓸모없는 시적주체들이 처해있는 곤란함을 드러내는 또 하나의 신경질적 보고서로 읽히기도 한다. 

 

3

 우리시대에 곤경에 처한 시적주체들에 대한 김개미식 보고서에는 보일 듯 보이지 않는 슬픔이 세공되어 있다. 시대적 곤경에 유머를 잃지 않고 아이들과 “아픈 눈을 뜬 채로” 마주하겠다는 것이 김개미의 윤리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김개미, 어이없는 놈, 문학동네, 2013> 

빛보다빠르게미래로달아나라 -이상,삼차각설계도 중에서